스토리지(Storage) 도입시, POC 항목 참고하세요
요즘 같은 클라우드 인프라 환경에서 스토리지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모든 데이터를 저장해야 하고 VM을 생성할 때 VM 이미지도 스토리지 영역에 저장되므로 필수적입니다. 회사별로 아키텍처를 달리 운영할 수도 있습니다.
스토리지를 구매할 때 기능이 조금씩 다르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어떤 스토리지를 사용할지 결정하기 전에 먼저 그 "주 용도"를 확립해야 합니다. 주 용도가 명확하지 않으면 스토리지를 구매하더라도 적절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토리지를 주 용도에 맞게 구성하고, 부가기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오늘은 스토리지를 도입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정리해봅니다. 스토리지는 고가의 장비이므로 반드시 가격 대비 성능을 따져보고 POC나 BMT 등을 통해 비교 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토리지 선택 시 고려사항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는 특정 하이퍼바이저 환경에서의 테스트 항목을 기준으로 합니다. 참고로 저희 회사는 hyper-v를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스토리지(Storage) POC테스트 공통 조건
- 호스트별 VM 40대 (vCPU 2, 메모리 4GB)
- 스토리지 Usable 20TB 중 14TB만 생성 (약 70%)
스토리지 POC나 BMT 할때 우리 회사 테스트 항목
1. VM 생성
- 스크립트를 이용해 VM 4개 동시 생성 시 소요 시간 확인
- VM 20개 동시 생성 시 소요 시간 확인
- VM 생성 시 성능 저하 여부 확인
- 최대 동시 생성 가능한 VM 수 (스토리지 성능 저하 없이)
2. Boot Storm
- 320개 VM 동시 Shut On 시 상태 및 스토리지 이상 여부
3. IOPS, Latency, MB/s
- 다양한 IO 크기에서 2시간 동안 랜덤 I/O 발생 시 성능 테스트
4. 컨트롤러 이중화
- 이중화된 컨트롤러 중 하나 임의로 Power Off 후 Takeover 여부 및 소요 시간 확인
- 서비스 세션 지속 여부 확인
5. Multi Disk 장애 테스트
- Raid Group 내 디스크 제거 후 서비스 이상 여부
6. 동적 자원 할당 여부
- Online 상태에서 LUN 크기 확장 시 인식 여부 확인
7. 데이터 백업 및 복구
- 요구에 맞는 백업 기능 제공 및 성능 저하 여부 확인
8. Live Migration
- VM 상태에서 LUN 간 이동 가능 여부 및 성능 저하 여부 확인
9. GUI 기반 관리 및 성능 리포팅 기능
- GUI를 통한 관리 및 모니터링의 편의성 확인
10. 데이터 삭제
- 데이터 삭제 시 소요 시간 확인
11. Thin Provisioning
- 스토리지 볼륨 할당 시 서버에서 인식 여부 확인
12. De-Duplication(중복 제거 기능)
- 중복 제거 기능 제공 여부 및 중복 제거율 확인
13. Compression(압출률)
- 압축 기능 제공 여부 및 압축률 확인
14. 향후 기술 지원
- POC를 통한 엔지니어 기술력 및 지원 능력 확인
현재 저희 회사에서는 이와 같은 14가지 항목에 대해 클라우드 인프라 환경의 스토리지 구입시 POC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항목들 외에도 세부적으로 좀더 면밀하게 살펴보는 항목들도 있긴한데요. 본문 내용에는 기본적인 내용들만 설명 드린것입니다.
스토리지 도입 시 위와 같은 사항들을 체크하여 다양한 업체를 비교 분석한 후 최선의 선택을 해야 합니다. 최근 클라우드 보급이 확산되면서 스토리지 제조사들은 백업을 위한 다양한 클라우드 옵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AWS나 Azure로의 백업 기능 외에도 시놀로지는 C2라는 자체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백업 용도로 사용하는 스토리지는 빠른 속도보다는 안정성과 비용 효율성에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따라서 기능이나 속도보다 안정성이 높은 제품 또는 두 개 이상의 스토리지를 도입하는 것이 가장 좋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댓글